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항력 성립요건 경매 공매 비교 정리

by jung4050 2025. 8. 13.

부동산 경매와 공매에서 임차인의 대항력 성립 여부는 낙찰자의 인수금액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대항력은 주택임대차보호법 또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정한 요건을 갖추었을 때 제3자에게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경매와 공매는 주체, 절차, 권리분석 기준일이 다르기 때문에 대항력 성립 시점 판단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경매와 공매에서의 대항력 요건과 판단 기준, 실무 적용 차이, 투자 전략까지 상세하게 비교 정리합니다.


1. 대항력의 기본 개념과 법적 근거

1) 대항력의 의미

  • 대항력은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제3자(소유권을 취득한 낙찰자 등)에게 주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대항력이 있으면 낙찰자가 임차인을 내보내지 못하고 보증금을 인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법적 근거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계약 + 주택 인도 + 전입신고 → 다음 날 0시부터 대항력 발생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3조: 계약 + 상가 인도 + 사업자등록 → 다음 날 0시부터 대항력 발생

3) 대항력의 효과

  • 대항력이 성립한 이후 소유자가 바뀌어도 임차권이 존속
  • 경매나 공매에서도 낙찰자가 임차인의 권리를 인수할 수 있음

2. 경매에서의 대항력 성립 요건과 판단 기준

경매에서는 말소기준권리와 대항력 성립일을 비교하여 인수 여부를 판단합니다.

1) 대항력 성립 요건(주택)

  • 임대차계약 체결
  • 실제 점유(인도)
  • 주민등록 전입신고 완료
  • 위 요건이 모두 갖춰진 다음 날 0시부터 대항력 발생

2) 말소기준권리와의 관계

  • 말소기준권리보다 먼저 대항력이 성립 → 낙찰자 인수 가능성 있음
  • 말소기준권리 이후 대항력이 성립 → 대항력 없음, 임차인은 퇴거 대상

3) 배분요구종기일과의 연계

  • 대항력이 있어도 종기일 전에 배당요구하면 보증금 배당 가능
  • 종기일 이후 미배당요구 시 → 낙찰자가 보증금 전액 인수

4) 예시

  • 말소기준권리: 2024.05.10
  • 대항력 성립일: 2024.04.20 → 인수 가능성 있음
  • 종기일 전 배당요구 O → 보증금 배당, 낙찰자 인수 부담 없음

3. 공매에서의 대항력 성립 요건과 판단 기준

공매는 압류등기일과 대항력 성립일을 비교하여 인수 여부를 판단합니다.

1) 대항력 성립 요건(주택)

  • 임대차계약 체결
  • 실제 점유(인도)
  • 주민등록 전입신고 완료
  • 위 요건이 모두 갖춰진 다음 날 0시부터 대항력 발생

2) 압류등기일과의 관계

  • 압류등기일보다 먼저 대항력 성립 → 낙찰자 인수
  • 압류등기일 이후 대항력 성립 → 대항력 없음, 퇴거 대상

3) 배분요구종기일이 없는 구조

  • 공매에서는 배분요구종기일 제도가 없음
  • 대항력이 있으면 배당 여부와 상관없이 낙찰자가 인수
  • 일부 특수 상황에서 배당 가능하나, 경매처럼 종기일이 기준이 되지 않음

4) 예시

  • 압류등기일: 2024.05.10
  • 대항력 성립일: 2024.04.20 → 인수 확정
  • 낙찰자는 보증금 전액을 입찰가 산정 시 반영해야 함

4. 경매 vs 공매 대항력 비교

구분 경매 공매
기준일 말소기준권리 설정일 압류등기일
대항력 판단 기준일 이전 대항력 성립 시 인수 기준일 이전 대항력 성립 시 인수
종기일 제도 있음(배분요구종기일) 없음
인수 예외 종기일 전 배당요구 시 인수 면제 가능 없음(대항력 성립 시 무조건 인수)
실무 난이도 기준일+종기일 이중 분석 기준일만 분석
 

5. 투자 실무 전략

1) 경매 투자 시

  • 말소기준권리일과 대항력 성립일을 비교
  • 종기일 전 배당요구 여부 확인 필수
  • 인수금액이 크면 입찰가에서 차감

2) 공매 투자 시

  • 압류등기일과 대항력 성립일 비교
  • 대항력 있으면 인수 전제 후 입찰
  • 임차인과 협상 가능 여부 검토

3) 공통 주의점

  • 등기부등본과 전입세대열람으로 대항력 성립일 확인
  • 점유 사실과 사업자등록 여부까지 현장 조사

결론

대항력 성립 요건은 법률상 동일하지만, 경매에서는 말소기준권리일+배분요구종기일이라는 이중 분석이 필요하고, 공매에서는 압류등기일 하나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경매는 종기일 여부에 따라 인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공매는 대항력이 성립하면 무조건 인수하는 구조입니다. 투자자는 절차별 기준일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권리분석을 해야 안전한 입찰이 가능합니다.

 

대항력 성립요건 경매 공매 비교 정리
대항력 성립요건 경매 공매 비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