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 등기 설정 절차 (보증금, 신청, 법적효과)
전세계약이 끝났지만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퇴거하게 되는 경우, 임차인에게 남은 유일한 권리 보호 수단은 ‘임차권 등기 설정’입니다. 특히 전세사기, 깡통전세, 역전세 등 리스크가 증가한 최근 상황에서 임차권 등기 절차를 정확히 아는 것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임차권 등기의 정의부터 신청 자격, 준비 서류, 절차, 법적 효과까지 실무 중심으로 총정리해 드립니다.1. 임차권 등기의 정의와 필요성‘임차권 등기’란 전세계약이 끝난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임차인이 퇴거한 경우, 임차인의 권리를 등기부에 남기는 법적 절차입니다. 이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3에 근거한 제도로, 점유를 상실한 임차인이 여전히 보증금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공식화하는 조치입니다.이 등기를 마치면 등기부등본 상..
2025. 7. 12.